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 15

amu로 나타낸 핵자의 질량

중성자, 양성자, 전자의 질량을 amu(원자 질량 단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중성자 (Neutron)**: 약 1.008665 amu- **양성자 (Proton)**: 약 1.007276 amu- **전자 (Electron)**: 약 0.000549 amu이 값들은 상대적인 질량을 기준으로 하며, 원자 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 amu(원자 질량 단위)의 질량 유도 과정원자 질량 단위(amu)는 원자나 분자의 질량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위로, 주로 화학과 물리학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1 amu는 탄소-12 동위원소(¹²C)의 질량을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정의1 amu는 탄소-12 원자 1개의 질량의 1/12로 정의됩니다. 즉,\[1 \, \text{amu} = ..

[25RM기출] 🔬 중성자 흡수 단면적 비교: 가돌리늄, 보론, 카드뮴, 하프늄 🌟

#중성자흡수단면적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중성자 흡수 단면적에 대해 알아보고, 가돌리늄(Gd), 보론(B), 카드뮴(Cd), 하프늄(Hf) 네 가지 원소를 비교해보겠습니다. 중성자 흡수 단면적은 원소가 중성자를 얼마나 잘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적 특성이에요.## 🏆 중성자 흡수 단면적 순위1. **가돌리늄 (Gd)**: 약 49,000 barn2. **보론 (B)**: 약 3,800 barn3. **카드뮴 (Cd)**: 약 220 barn4. **하프늄 (Hf)**: 약 100 barn이 순위는 각 원소의 중성자 흡수 단면적을 기준으로 하며, barn은 중성자 흡수 단면적의 단위입니다.## 🔍 각 원소의 중성자 흡수 단면적- **가돌리늄 (Gd)**: - 가돌리늄은 매우 높은..

사용후핵연료 중간저장시설의 위치에 관한 기술기준

제3조(지질 및 지질학적 특성) 지질 및 지질학적 특성은 다음 각 호와 같다.1. 중간저장시설을 중심으로 한 반경 8km 이내에 활동성 단층이 위치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중간저장시설은 역사적으로 지진발생 빈도, 규모 및 진도가 상대적으로 낮거나 또는 그와 같이 예상되는 지역에 위치하여야 한다. 3. 중간저장시설은 풍화, 침식, 침강, 융기, 풍화작용, 산사태, 액화작용 등과 같은 지각변동으로 인하여 해당 시설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판단되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4. 중간저장시설의 제반 구성물질은 가능한 한 균질기반암이어야 하며, 균질기반암이 아닌 경우에는 공학적 방법으로 해당 시설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는 것을 입증하여야 한다.  빈칸 채우기가 나올 수도 있을 텐데!?

원자력안전법의 "허가"와 "지정"의 차이 및 사용후핵연료처리사업 승인 사례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의 원자력안전법에서 중요한 두 개념인 "허가"와 "지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개념은 원자력 시설 및 관련 활동을 규제하는 데 사용되며, 각각의 목적과 적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사용후핵연료처리사업의 지정 및 변경 승인 사례를 통해 이들 개념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1. 원자력안전법의 "허가" (Permit/License) **정의:**   "허가"는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원자력 시설을 건설하거나 운영하거나 특정 활동(예: 방사성 물질의 사용, 폐기 등)을 수행하려는 사업자가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사전에 승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를 의미합니다. 이는 법적으로 강제성이 있는 행정 행위로, 허가 없이는 해당 활동을 할 수 없습니다.**적용..

2025년 핵연료물질취급자면허 RM

1교시계량관리보고서 종류 및 설명(주관식) 재고변동보고서(Inventory Change Report, ICR): 물질수지구역에서 핵물질의 반입, 반출, 생성, 소모에 따른 핵물질 재고의 변동사항 보고(재고변동형태), 재고변동이 발생한 월말로부터 15일 이내 RF: 해외 반입 RD: 국내 반입 NP: 핵물질 생성 SF: 해외 반출 SD: 국내 반출 LN: 핵변환 소모 이름, 설명 못씀 물자재고목록(Physical Inventroy Listing, PIL): 물질수지구역의 측정지점별 존재하는 특정핵물질의 재고목록, 물자재고조사일로부터 15일 이내(보고기한) 이름만 씀(이름을 이상하게 쓴 듯) 물질수지보고서(Mas..

파산자(feat. 원자력안전법 14조 원자력관계사업자의 '결격사유')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않은 사람을 '파산자'라고 합니다. 파산자는 법원에 의해 파산이 선언된 후, 일정 기간 동안 재정적 의무를 이행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복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법적으로 특정한 권리나 자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Q. 파산자가 피한정후견인과 동일한 단어인가?A. 아니요, '피한정후견인'의 정의는 다릅니다. 피한정후견인은 법원에 의해 후견인이 지정된 사람으로, 정신적 또는 신체적 이유로 인해 자신의 재산이나 법적 권리를 스스로 관리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즉, 피한정후견인은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이며, 후견인은 그들을 대신하여 법적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습니다. 반면, 파산자는 재정적 문제로 인해 법원에 의해..

컴프턴 효과에 대한 이해 🌌

#컴프턴 효과는 전자기 방사선이 궤도 전자와 충돌하여 에너지를 일부 전달하고, 그 결과로 전자가 방출되며, 에너지가 감소한 전자기 방사선이 다른 방향으로 산란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물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특히 입자 물리학과 천체 물리학에서 많이 다루어집니다.## 1. 컴프턴 효과의 기본 개념 🔍1. **컴프턴 산란**: 전자기 방사선이 전자와 충돌할 때, 에너지를 잃고 방향만 바뀌는 현상입니다.2. **톰슨 산란**: 전자기파가 전자와 충돌했을 때 에너지 손실이 없고 방향만 변하는 단순한 산란 현상입니다.## 2. 발생 확률 📈- **에너지 기준**: 0.51 MeV 이상의 에너지에서 발생하기 쉬움.- **원자 번호**: 발생 확률은 원자 번호에 비례합니다.- **에너지 반비례**: 전자기..

핵임계안전지수(KI)와 운반제한갯수에 대한 이해 🌟

#핵임계안전지수(KI, Criticality Safety Index)는 방사성 물질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 지수는 특정 물질이 임계 상태에 도달할 가능성을 나타내며, 방사성 물질의 안전한 운반 및 저장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 KI 값의 정의KI 값은 방사성 물질의 농도, 형태, 그리고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지며, 이 값이 높을수록 해당 물질이 임계 상태에 도달할 위험이 증가합니다. KI 값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1. **물질의 종류**: 각 방사성 물질은 고유한 임계값을 가집니다.2. **물질의 농도**: 농도가 높을수록 KI 값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3. **형태**: 고체, 액체, 기체 등 물질의 형태에 따라 KI 값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4. ..

태양내부에 수많은 중성자는 왜 지구까지 오지 못할까?!

주요 요점태양 내부의 중성자는 핵융합 반응에서 거의 생성되지 않으며, 생성되더라도 태양의 높은 밀도로 인해 빠르게 포획됩니다. 중성자가 태양을 탈출하여 지구에 도달하기 어렵다는 증거는 태양의 밀도가 매우 높아 중성자의 평균 자유 경로가 매우 짧다는 점에서 설명됩니다. 태양에서 방출되는 주요 입자(예: 태양풍, 고에너지 입자)에는 중성자가 거의 포함되지 않으며, 이는 중성자가 태양 내부에서 포획되거나 흡수되기 때문입니다.태양 내부 중성자의 탈출 어려움태양의 에너지원은 핵융합 반응으로, 주로 수소가 헬륨으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성자는 거의 생성되지 않으며, 생성되더라도 태양의 중심부는 밀도가 매우 높아(약 150g/cm³) 중성자가 다른 원자핵에 의해 빠르게 포획됩니다. 이는 중성자..

'방사선량이 같아도 내부피폭은 외부피폭보다 수백 배까지 위험할 수 있다.' 이 주장의 합당한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이 내용은 방사선 피폭의 종류와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중요한 논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부 피폭이 외부 피폭보다 위험할 수 있다는 주장은 특정 조건에서는 과학적으로 타당성이 있습니다. 이를 단계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1. 내부 피폭과 외부 피폭의 차이외부 피폭: 방사선이 신체 외부에서 조사되어 피부나 조직을 통과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X선 촬영이나 감마선에 노출되는 상황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방사선은 신체를 통과하거나 흡수된 후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습니다.내부 피폭: 방사성 물질(예: 요오드-131, 세슘-137, 스트론튬-90 등)이 호흡, 섭취, 상처를 통해 체내에 들어가 조직이나 장기에 축적되는 경우입니다. 이 물질은 체내에 머무르며 지속적으로 방사선을 방출합니다.2. 위험성의 차이..

반응형
LIST